목록전체 글 (53)
웹풀스택 공부 중

10 - 2. Module System모듈 시스템HTML에서 Script의 로드 시점을 조율한다면 웹 브라우저 내 DOM의 로드 속도를 향상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성능에서 고려해야할 것 두가지다운로드 = Fetch실행 = execute두가지가 있다: defer , async defer: 지연 스크팁트나중에 실행한다DOM의 모든 element에 접근할 수 있고, 실행 순서도 보장하기에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된다스크립트 파일끼리의 의존성이 있는 경우에도 사용이 용이하다순서를 보장한다HTML에 추가된 (Script가 추가된) 순서대로 실행한다크기나 먼저 도착한 Script 순서 상관없이!async : 비동기 스크립트다운로드 시작 (fetch)하자마자 바로 실행된다실행 순서를 비보장한다 = 자본주의!먼저온 S..
객체 = 필드 + 메서드 (프로퍼티의 집합) 요소 (Element = 객체) = 속성 + 프로퍼티(Attributes)의 집합 요소: 속성: 메서드 Default 버전으로 표현 function() { } 을 사용한다. var person = { name: "Aaron", sayName: function() { console.log(this.name); }};class Person { name = "Aaron"; sayName = function() { console.log(this.name); }}; Shorten 버전으로 표현var pe..

ThisThis는 두 가지로 나뉩니다:일반 함수 표현식 내 this: 객체 동적 바인딩 = 동적 스코프 (Dynamic Scope)일반 함수: 그냥 global 객체메서드: 객체화 혹은 초기화 여부에 따라 해당 객체 내 스코프가 결정됨function Constructor1() { // 호출지 : Constructor1 객체 this.field = 0; // (위와 동일) Constructor1 객체 내 this.field = 0 console.log(this.field); // (위와 동일) Constructor1 객체 내 this.field = 0 function doublewrapper() { // ..

JS함수형 프로그래밍 기반으로 객체지향의 기반을 얹었다Zod: 이후에 추가할 내용함수형 프로그래밍의 페러다임: 일급 함수 & 순수 함수일급함수함수 변수 할당 = 함수 표현식var expression = function() { console.log('') } expression()함수 파라미터var array = [1,2,3,4,5] var parameter = (elemet) => { return element * 10 } var calcarray = array.map(parameter) console.log(calcarray)함수 반환function returnvalue(unit){ return (paratmer) => { console.log(parameter * unit) } } var return..
코드 작성법DRY: Don't Repeat YourselfKISS: Keep it Simple and StupidYAGNI: You Ain't Gonna Need It - 지금 필요한것만 만든다클린코드의 목적 - 쉬운 이해 및 유지보수성중복의 최소화한 곳의 수정이 중복된 다른 코드에서 수정을 동반해서는 안된다코드 변경의 용이성요구사항이 상시 바뀔수도 있기 때문에재사용성비슷한 경우에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For 문for loop을 사용하는 경우: ms 단위의 성능이 중요한 경우, 의미가 명확할 정도로 단순한 로직.map, .filter, .reduce, .forEach를 사용하는 경우:장점:함수형 프로그래밍으로 의미가 명확하다스코프가 단순화된다멀티 스레드 사용 시 문제 없음일반적으로 for-loo..

Zone- zone 마다 서버의 수가 다를 수 있다1. Local: 실제 개발을 진행하며, 디버깅 및 로컬 테스트를 수행하는 로컬 환경 - Local DB: 가벼운 테스트를 위해 개발자가 직접 적재 혹은 로컬 실행을 통해 적제되는 정보 2. Develop Zone: 마무리 된 개발에서 누락된 테스트 케이스는 없는지, 개발자에게 노출(배포) - Develop Zone DB: 테스트를 위해 개발자들이 직접 적재 - 로컬보다 데이터량이 많다 - 내가 짠 코드를 남이 테스트 해준다 3. Staging Zone: 운영존에 가장 가까운 환경, 최종 배포전 네트워크 및 인프라 환경에 대한 마지막 테스트 - Staging Zone DB: 운영존과 가장 가까운 수준의 데이터량을 적재한다 - 내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