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풀스택 공부 중
Git 구조 및 Remote vs Local 본문
- 기존 분류는 1. Remote + 2. Local + 3. Working Directory + 4. Staging Area
- 우리가 다룰 분류: 1. Working Directory + 2.Staging Area + 3.Unstaged + 4.Untracked
Working Directory:
- 로컬 작업 공간에서 작업할 Branch를 선택할 수 있다
- git checkout branch_name
- 두가지로 나눠진다: Tracked, Untracked
- Tracked: Git이 추적하는 파일이다
- 두가지로 나눠진다: Unstaged, Staged
- Unstaged: Git이 추적하는 파일 중 수정된 파일의 집합
git commit시 이곳에 있는 파일은 Staged로 넘어간다
- Staged: Commit 되게 위해 대기중인 파일
git commit시 이곳에 있는 파일들이 Commit 된다- Cache == index == Stage 는 다 같은 뜻으로 통용될 수 있다


- Unstaged: Git이 추적하는 파일 중 수정된 파일의 집합
- 두가지로 나눠진다: Unstaged, Staged
- Untracked: Git이 모르는 파일 (새로 추가한 파일)
Local에서 Remote로 올리는 방법

- main branch 는 무조건 오류가 없어야한다!
- develop branch는 테스팅을 위해 만든다 (가장 최신버전이다)
- feature - 개인이 작업한 내용
- 이후 develop에 merge하여 테스팅 후, main으로 merge한다
- develop branch를 source branch로 feature branch를 만들어야한다
Remote에서 Branch 생성 후 local에서 업데이트하는 방법

Remote에서 브랜치 삭제 후 업데이트 하는 방법

- Remote에서 지운다고 해도 local에서 살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fetch -p로 잘라내는 과정이 필요하다
Local에서 Branch 생성 후 Remote로 올리는 방법

반응형
'웹개발 > 개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기초 코드 작성 방법 [rule of thumb] (3) | 2024.09.03 |
|---|---|
| Git Zone & Git Flow (0) | 2024.09.03 |
| Git & GitHub (2) | 2024.08.27 |
| Bash 명령어 (2) | 2024.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