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웹풀스택 공부 중

Amazon (아마존): Fungible SDEI FT 코딩테스트 후기 본문

코딩테스트/후기

Amazon (아마존): Fungible SDEI FT 코딩테스트 후기

lukeit 2024. 8. 23. 18:32

 

신청한지 거의 두달만에 연락이 와서 당황했었다...

풀스택 과정 준비하다보니 코테에서 살짝 손 때자마자 연락이 오다니..

 

코딩 테스트는 크게 3가지 부분으로 나눠져있었으며, 

 

코딩 테스트 할 수 있는 시간은 한시간, 총 3문제를 풀어야했다.

나머지 2.5~3시간은 인성검사와 적성검사로 나눠졌었다.

 

코딩 테스트는 부랴부랴 준비했던 DFS, BFS, Mapping 쪽에서 하나도 안나오고 오히려 String, List쪽에서 나와 난이도가 생각보다 어렵진 않았다! (물론 String, List쪽도 높은 수준의 알고리즘을 원해 어렵긴했다)

 

근데 문제는 인성검사 부분

3시간짜리 인성검사는 생각보다 많이 힘들었다.

 

딱히 준비할 수 있는 부분도 아니고, 3시간이나 주길래 좀 불안했었다.

불안은 틀리지 않았고, 개인적으로 코테보다 더 어려웠다고 생각한다.

대부분이 딜레마 위주의 문제라, 답에 대한 확신이 생기지 않았다.

어떠한 동영상을 보여주며, 시나리오를 주고 생각해보도록 하는 문제였다.

예를들어, 동료가 힘들어하면 퇴근시간을 늦춰서 까지 도와줄지, 어떻게 도와줄지,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동료의 실수를 PM에게 보고를 해야하는지 등 다른 곳에서 코테했을때와는 매우 다른 느낌의 시험이였다.

 

다른 예시로는, 택배기사의 루트를 짜는 알고리즘이 A안B안이 있을때,

A안은 더 빠르고, 비용이 더 비싸지만 비슷한 일의 가중치를 가진 택배기사님들이 비효율적으로 움직여 전체적인 피로도가 높다.

기사님들이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B안은 더 느리고, 비용이 싸지만 몇몇 기사님한태는 일이 과중되어 기사님들끼리의 일의 양이 달라 불만이 생길 수 있는 알고리즘이다.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은 어떤것을 선택하겠는가? 정답이 무엇인가? 

 

나는 솔직히 정답이 없다고 생각한다, 당신이 어떤것에 더 가치를 두고있는지 물어보는듯한 질문이였다.

돈? 시간? 효율성? 스트레스? 인간성? 등 정말 많은 것들을 생각해보고 순위를 두어, 그 순위가 아마존이 원하는 순위인가를 비교하는 시험이였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적성검사는 말 그대로 적성검사였으며,

예를들어

집에서 일하는게 좋은지, 밖에서 일하는게 좋은지;

규모가 큰 팀에 있는게 좋은지, 아닌지 등

직장인용 MBTI급인 질문이라 슥슥 넘어갈 수 있었다.

 

전부 끝났을때 대략 1시간정도 남아있었다.

이런 코딩테스트의 방식은 다양한 코테를 봤었지만 처음본다.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으며, 내가 부족한 부분을 보안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이런 후기를 남긴다. 

반응형